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2

리눅스 - 셸(Shell) 이란? 셸(Shell) 이란?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 후 실행하여 커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커널 사용자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셸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셸이 부여되는데 셸이 부여되지 못하면 로그인을 하더라도 명령을 수행할 수 없다. 최초의 셸에 가까운 본 셸(Bourne Shell)을 개발하였지만 유용한 기능이 많지 않아 버클리 대학의 빌 조이(Bill Joy)가 개발한 C 셸(C Shell, csh)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C셸은 본 셸보다 사용하기 편하며, 유용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현재는 bash, ksh, tcsh, zsh과 같은 다양한 셸이 되었으며, 리눅스에서는 sh이 기본으로 ksh와 csh 계열의 장점을 결합한 ba.. 2021. 12. 23.
리눅스 디렉터리의 종류와 특징 리눅스 디렉터리의 개요 리눅스 내 파일을 보관하는 곳이 디렉터리이다. 최상위 루트(/)에서부터 하위 디렉터리까지 트리 구조로 계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류와 특징 / : 최상위 디렉터리 (루트(root) 디렉터리) /bin : binary의 약자로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 대표적인 명령어로 cat, cp, mkdir, rmdir, mv, rm 등이 존재 /boot : 부팅 시 필요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터리 /dev : 물리적인 장치 등을 관리하는 디렉터리 (하드 디스크, CD-ROM 등)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에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터리 /home : 개인 사용자가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는 디렉터리 (홈 디렉터리)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존재하는 .. 2021. 12. 23.
리눅스의 장/단점 리눅스 장점 다중 처리 시스템 및 다중 사용자 하나의 시스템에 여러명의 사용자들이 동시 접속 가능하며, 각 접속자들은 여러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오픈 시스템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 뿐만아니라, 같이 내장되어 배포되는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의 소스가 오픈 된 프로그램이다. 광범위한 네트워크 환경 가장 널리 쓰이는 이더넷, SLIP, PPP, ATM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며, TCP/IP, IPX, AppleTalk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 활용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 리눅스 고유의 파일 시스템인 ext2, ext3, ext4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고유의 파일 시스템만 지원하는 다른 운영체제와 달리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뛰어난 이식.. 2021. 12. 21.
인공지능(AI) vs 머신러닝 vs 딥러닝 인공지능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등을 가리키며, 알파고의 등장으로 4차 산업혁명의 메인 화두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신속하고 강력한 병렬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도입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인공지능(AI) 분야는 딥러닝과 머신러닝보다 훨씬 더 큰 포괄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은 컴퓨터를 인간처럼 학습시킴으로써 컴퓨터가 새로운 규칙을 생성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시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처럼 머신러닝이란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알.. 2021. 12. 20.
인공지능과 알파고 알파고(AlphaGo)는 2014년 구글에 인수된 딥마인드(DeepMind)에서 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바둑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자기 자신과의 대국을 통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파고는 2016년 이세돌 9단에 맞바둑으로 도전하여 4승 1패라는 믿기지 않는 성적으로 승리함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한 해 동안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키워드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키워드이기도 합니다. 바둑과 인공지능 바둑은 체스나 장기와는 달리 지금까지 사람을 이길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만들기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되어 왔던 분야 중 하나였습니다. 바둑판은 가로와 세로 각각 19개의 줄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바둑돌을.. 2021. 12. 20.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등을 통틀어 일컫습니다.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에서 열린 회의에서 존 매카시는 처음으로 인공지능이란 용어를 언급하며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또한, 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며, 대화를 나누어 상대방이 컴퓨터인지 사람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사고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지금까지 인공지능 분야의 기반이 되었으며, 튜링 테스트(Turing Test)라는 이름으로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2021.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