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안 공부/인공지능4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예전의 인공지능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든 많은 양의 샘플들을 데이터베이스 화하여 자료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컴퓨터에 직접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작업이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사람조차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지식(no explicit knowledge)을 구현해야 하거나, 사람이 일일이 구현하기에는 너무 많은 양의 규칙들이 필요한 경우가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이 바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입니다. 기계학습이라고도 불리는 머신러닝은 컴퓨터를 인간처럼 학습시킴으로써 인간의 도움 없이 컴퓨터가 스스로 새로운 규칙을 생성할 수 있지.. 2021. 12. 24. 인공지능(AI) vs 머신러닝 vs 딥러닝 인공지능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등을 가리키며, 알파고의 등장으로 4차 산업혁명의 메인 화두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신속하고 강력한 병렬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도입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인공지능(AI) 분야는 딥러닝과 머신러닝보다 훨씬 더 큰 포괄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은 컴퓨터를 인간처럼 학습시킴으로써 컴퓨터가 새로운 규칙을 생성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시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처럼 머신러닝이란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알.. 2021. 12. 20. 인공지능과 알파고 알파고(AlphaGo)는 2014년 구글에 인수된 딥마인드(DeepMind)에서 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바둑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자기 자신과의 대국을 통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파고는 2016년 이세돌 9단에 맞바둑으로 도전하여 4승 1패라는 믿기지 않는 성적으로 승리함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한 해 동안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키워드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키워드이기도 합니다. 바둑과 인공지능 바둑은 체스나 장기와는 달리 지금까지 사람을 이길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만들기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되어 왔던 분야 중 하나였습니다. 바둑판은 가로와 세로 각각 19개의 줄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바둑돌을.. 2021. 12. 20. 인공지능이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등을 통틀어 일컫습니다.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에서 열린 회의에서 존 매카시는 처음으로 인공지능이란 용어를 언급하며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또한, 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며, 대화를 나누어 상대방이 컴퓨터인지 사람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사고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지금까지 인공지능 분야의 기반이 되었으며, 튜링 테스트(Turing Test)라는 이름으로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2021. 1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